축산물 B2B 유통 플랫폼을 운영하는 미트박스글로벌이 2025년 1월 23일 코스닥 시장에 상장합니다. 본 기업은 디지털 혁신을 통해 축산물 유통시장의 비효율성을 해소하며 빠른 성장을 기록 중입니다. 이번 공모주 청약에 참여하기 전 필수적으로 알아야 할 기업 개요, 수요예측 결과, 공모 정보를 정리했습니다.
1. 미트박스글로벌 기업 개요
- 주요 사업: 축산물 B2B 도소매 판매 및 중개
- 복잡한 유통 단계를 없애고 판매자와 구매자를 연결하는 B2B 직거래 플랫폼 운영
- 자체 데이터 플랫폼(MIT) 및 미트매치 서비스를 통해 신사업 확장
- 주요 성과:
- 2023년 거래액 4,249억 원
- 연간 구매 고객 61,500명, 평균 재구매율 82%
- 2023년 매출 669억 원, 영업이익 26억 원
2. 공모주 청약 정보
항목 | 내용 |
---|---|
청약일 | 2025년 1월 13일(월) ~ 1월 14일(화) |
공모가 | 19,000원 (확정) |
공모주 수 | 1,000,000주 |
일반 청약자 배정 물량 | 250,000주 (균등 125,000주, 비례 125,000주) |
최소 청약 수량 | 20주 |
증거금 | 190,000원 (19,000원 x 20주 ÷ 2) |
환불일 | 2025년 1월 16일(목) |
상장일 | 2025년 1월 23일(화) |
주관사 | 미래에셋증권 |
3. 수요예측 결과
1) 수요예측 참여 현황
- 참여 기관 수: 1,988개
- 경쟁률: 849.95:1
→ 높은 경쟁률로 기관 투자자들의 높은 관심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2) 공모가 확정 과정
- 공모가 희망 범위: 19,000원 ~ 23,000원
- 공모가 확정: 19,000원 (하단)
→ 시장의 기대치 대비 보수적으로 확정되었습니다.
3) 의무보유 확약 현황
- 의무보유 확약 비율: 0%
→ 기관 투자자들이 공모주를 일정 기간 보유하겠다고 약속한 비율이 0%로, 상장 직후 물량 출회 가능성이 큽니다.
4. 상장일 유통 가능 물량
- 유통 가능 물량: 2,166,664주
- 비율: 38.97%
→ 상장 직후 주가 변동성이 클 수 있으므로 유의가 필요합니다.
5. 최근 3년 실적 요약
연도 | 매출액(억 원) | 영업이익(억 원) | 연평균 성장률(%) |
---|---|---|---|
2022년 | 420억 | 21억 | - |
2023년 | 669억 | 26억 | 44% |
2024년(예상) | 1,100억 | 32억 | - |
- 2023년 매출 성장률: 64%
- B2B 중심의 안정적 매출 구조 덕분에 꾸준한 흑자 경영을 유지 중입니다.
6. 투자 포인트 및 리스크
투자 포인트
- 디지털 혁신: 축산물 B2B 시장에서 온라인 플랫폼 선두주자
- 고객 충성도: 평균 재구매율 82%를 기록하며 안정적 수익 창출 구조 구축
- 해외 진출 계획: 베트남, 대만 등 동남아 시장 확장 계획 보유
리스크
- 의무보유 확약 비율 0%: 상장 직후 주가 변동성이 매우 클 수 있음
- 상장일 유통 가능 물량 38.97%: 대량 물량 출회로 인한 주가 하락 가능성
- 공모가 하단 확정: 최근 공모가 고평가 논란이 있었지만, 공모가 하단 확정은 상승 여력을 남겼으나 기관 투자자들의 보수적인 평가로 볼 수도 있음
7. 청약 전략
- 공모주 비중 조절
- 높은 경쟁률과 상장일 유통 물량을 고려해 균등 1~2주 배정 가능성이 큽니다.
- 다만 첫 청약이기 때문에 비례 청약을 통해 다소 공격적으로 참여해볼 수도 있습니다.
- 단기 매매 전략
- 상장일 물량 부담을 고려해 단기 매도로 차익 실현하거나, 변동성이 크다면 저가 매수 기회를 노리는 것도 전략입니다.
청약 참여 여부 판단
미트박스글로벌은 축산물 B2B 시장에서 독보적인 입지를 다진 플랫폼 기업으로, 꾸준한 성장과 신사업 확장 계획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다만, 의무보유 확약 비율 0% 및 유통 가능 물량 38.97%로 인해 상장 직후 주가 변동성이 클 수 있으니 리스크를 충분히 고려해 청약에 참여하는 것이 좋습니다.
투자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공모주 청약을 기원합니다!
전선 테마 강세 지속… 대원전선 상한가 랠리!
최근 전선 테마가 +4.65% 상승하며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전력망 강화 및 재생에너지 확산과 같은 대규모 인프라 투자 확대 소식이 전선 관련 종목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번
jujaebuja.tistory.com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주 ETF, 상승 랠리 시작? 트럼프발 협력 모멘텀 총정리 (0) | 2025.01.16 |
---|---|
조선 테마주 훈풍… 삼성중공업 10% 급등! (0) | 2025.01.15 |
전선 테마 강세 지속… 대원전선 상한가 랠리! (0) | 2025.01.13 |
공기청정기 테마, 시장의 맑은 바람… 상승세 종목 및 투자 전략 (0) | 2025.01.13 |
로봇 테마, 상승세 지속 핵심 종목과 투자 전략 (1) | 2025.01.02 |